SSD-BAR의 소개
- 기존 마이크로파일 공법을 원리대로 적용하되, 암반층에 정착되는 트레드바의 나사선(피치) 간격을 넓히고, 하중내하체를 설치 하여 마이크로파일이 갖는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신개념 트레드바입니다.
- 즉, 지지력이 발현되는 암반층(정착장)에 신개념 트레드바(SSD-BAR)를 사용하여 암반층의 부착력을 극대화 시켜 구조상 높은 안정성을 구현한 마이크로파일공법입니다.
SSD-BAR의 특성
- 기존 마이크로파일의 특성을 그대로 적용하되, 지지력이 발현되는 암반층(정착장)에 넓은 피치 간격을 가진 트레이드바 (SSD-BAR)를 삽입하여 GROUT재와의 접촉면을 향상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킵니다.
- 정착장에 삽입되는 트레드바에 하중내하체를 결합함으로서 MICRO PILE체의 단면적을 높여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, MICRO PILE 공법의 시공성, 경제성, 안정성을 증진시킵니다.
SSD-BAR 시험성능 비교 실험표
시료길이(mm) | 규격 (Ø) | 일반 THREAD BAR | SSD-BAR | 향상률(%)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피치(mm) | 압축강도 | 피치(mm) | 압축강도 | |||
300 | 75 | 8 | 528.8 | 16 | 619.8 | 117 |
600 | 75 | 8 | 1046.2 | 16 | 1133.6 | 108 |
강봉의 제원 및 허용응력
SSD-BAR(강봉) | 적요 | Ø(mm) | w(mm) | a(mm) | c(mm) |
---|---|---|---|---|---|
비정착장 | 50 | 53 | 3 | 8 | |
65 | 68 | 3 | 8 | ||
75 | 78 | 3 | 3 | ||
정착장 | 50 | 55 | 5 | 12 | |
65 | 70 | 5 | 14 | ||
75 | 80 | 5 | 16 |
항복응령/극한응력 (kg / ㎠) |
공칭경 Ø (mm) |
공칭단면적 (㎟) |
항복하중 (TON) |
극한하중 (TON) |
Pa=FaXA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(TON) | ||||||
A | fy | fu | fy/1.71 | fu/1.75 | ||
5,000/5,500 | 50 | 1,963.5 | 98 | 108 | 57 | 56 |
65 | 3,318.4 | 166 | 183 | 97 | 95 | |
75 | 4,417.9 | 221 | 243 | 129 | 126 | |
6,500/8,000 | 50 | 1,963.5 | 138 | 157 | 80 | 79 |
65 | 3,318.4 | 232 | 266 | 136 | 133 | |
75 | 4,417.9 | 309 | 354 | 181 | 177 |
※ 강봉의 허용응력은 일반THREAD BAR 와 SSD-BAR 공통 적용